고성군 고성읍 송학리 무학마을에 있는 펑퍼짐한 구릉에 오르면 여러 기의 가야시대 봉분을 만날 수 있다.
최근에는 송학동 고분군 중 제1호분은 1기가 아닌 3기의 고분이 중첩돼 조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송학동 1호분 중 가장 먼저 조성된 송학동 1A 호분은 소가야 최상위 지배집단의 특징적인 무덤 양식으로 소가야 왕과 그 가족 무덤으로 추정된다.
이외 고분군에서는 철창, 등자 등 무기류를 비롯해 은으로 장식한 도검, 은으로 만든 허리띠 등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유물들이 발견됐다.
일부 고분의 내부는 전면 붉은색 도장이 돼 있었으며 벽에서는 장식용 휘장을 고정하는 못이 발견됐다.
일제에 의해 무자비한 도굴과 파괴로 원래의 모습을 상당부분 상실한 수난의 아픔의 간직한 이 고분은 일본이 고대 한반도 남쪽지역을 점령, 지배했었다는 소위 임나일본부의 논쟁에 휘말려 1980년대부터 한일 양국 고고학자들 간 끊임없는 논쟁으로 홍역을 치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잇단 정식 발굴 조사와 성과물로 인해, 아직 미미하게나마 논쟁의 여지는 남겨두고 있긴 하지만은 임나일본부의 망령은 적어도 이 송학고분에서 더 이상 이론적 근거가 없어졌다..
논쟁의 중심에 서 있었던 고분은 여러 기의 고분 중 가장 정상부에 위치한 1호분. 당초 이 고분은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의 형태를 띠고 있어 일부 몇몇 국내학자들에 의해 일본식 봉분형태라는 주장과 함께 일본학자들이 임나일본부설의 증거로 내세우기도 했다.
봉분의 앞이 네모나고 뒤가 둥근 형태의 전방후원분은 일본에서만 나타나는 형태로 4~6세기 조성된 천황(天皇)을 비롯한 최고 지배계급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 이 시기 지배계급들의 무덤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무덤양식이 고성에서 나타나니 일본학자들이 흥분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러나 동아대 박물관에 의해 4개월에 걸친 시굴조사와 정식발굴에서 이 전방후원분 형태의 고분은 축조시기를 달리하는 3개의 고분이 중첩되면서 생긴 현상으로 일본에서 보이는 양식과는 전혀 다른 것임이 밝혀졌다.
이와 함께 내부가 온통 붉은색으로 채색된 무덤방도 가야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돼 관심을 끌었다.
동아대박물관은 “일본의 전방후원분의 경우 주구(周溝:봉분 주변의 배수시설 등을 위한 구조물)도 없고 원분형태가 아닌데 반해 송학고분의 1호분은 가야고분의 특징인 원형을 뚜렷이 보이고 주구도 전체적으로 조성돼 있다. 고 주장하고, 전방후원분의 형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임나일본부설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확증된다”고 못박았다.
나아가 1호분은 17개의 분묘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송학고분을 두고 임나일본부의 확실한 증거라고 억지를 부리던 극우 일본학자들의 반응을 일축했다.
◆ 지석묘(支石墓)
고성군 삼산면 두포리에 있었던 것으로 마을 정지작업의 영향으로 이곳 송학 고분군 옆으로 옮겨졌다.
이 지석묘의 특징은 30여개의 성혈(性穴: 보통은 아들을 점지해 달라는 기도처 임)이 있으며 크기는 가로 2.5cm, 세로 2.5cm로 전국에서 보기 드문 고인돌로 돌 위에 있는 7개의 성혈은 북두칠성을 나타내는 별자리로 보이며 칠성의 점지로 득남의 기원 인듯하다.
'여행-경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영 용화사(龍華寺) (0) | 2017.02.20 |
---|---|
통영 소매물도(小每勿島) (0) | 2017.02.13 |
고성 구절폭포와 구절암(폭포암) (0) | 2016.09.05 |
고성 장의사(藏義寺) (0) | 2016.08.29 |
고성 만화방초 (0) | 2016.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