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국 사찰 & 함께 가고 싶은 곳

여행-대구15

팔공산 환성사 환성사(環城寺) 팔공산에있는 고찰 環城寺(환성사)는 주변 산줄기에 의해 城(성)처럼 빙 둘러싸여있다. 계곡과 올라가는 길이 동편 하양읍 쪽으로 터져 있지만 그마저 알아채지 못할 정도다. ‘環城寺=성벽으로 둘러싸인 절’이란 이름이 정말 어울린다. 단풍이 물들어가는 환성산 자락과 고즈넉한 절 풍경이 어울려 한 폭의 수채화다. 환성사는 신라와 고려 때만 해도 사람들이 들끓은 대형사찰이었으나 조선 초 이를 귀찮게 여긴 주지승이 객승의 말을 듣고 절 앞 연못을 메워버리면서 쇠락의 길을 걸었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연못을 메울 때 금송아지가 슬피 울며 동화사 쪽으로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리고 다 메우고 나선 화재가 나 모든 건물이 소실되고 지금은 대웅전과 수월관만 남아 있다. 하지만 절을 둘러싼 주변 산의 단풍.. 2021. 10. 15.
달성 용연사 용연사(龍淵寺) 대구시 달성군 옥포면(玉浦面) 반송동(盤松洞) 비슬산(琵瑟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914년(신라 신덕왕 3) 보양(寶壤)이 창건하였으며 그뒤 고려시대까지의 연혁은 전해지지 않는다. 1419년(세종1) 천일(天日)이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불탔고, 1603년(선조36) 탄옥(坦玉) · 경천(敬天) 등이 사명대사 유정(惟政)의 명으로 중창하였다. 1621년(광해군13) 범종각을 지었으나 1650년(효종1) 다시 법당과 요사채 등이 모두 불에 탔다. 1653년에는 홍묵(弘默)이 대웅전을 지었고 승안(勝安)이 명부전을 건립하였다. 1655년 희감(熙鑑)과 홍묵이 함허당(含虛堂)과 관정료(灌頂寮)를 세웠고 이듬해에는 청진(淸振)이 관음전.. 2021. 10. 15.
달성 옥연지 송해공원 옥연지 송해공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에 위치한 옥연지 송해공원은 달성군 명예군민인 방송인 송해 선생의 이름을 따 명칭 한 곳으로, 둘레길 데크, 백년수중다리, 바람개비 쉼터, 전망대, 금동굴, 얼음빙벽 등 다양한 볼거리로 조성되어있다. 공원과 함께 조성된 ‘옥연지 송해공원 둘레길’은 옥연지 일대의 자연을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는 생태탐방로다. 송해공원과 둘레길이 생기면서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만들어졌던 옥연지는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게 되었다. '간첩도 다 안다'고 할 정도로 유명한 ‘국민MC' 송해. 대구 달성군 옥포면에 그의 이름을 딴 '송해공원'이 있다. 농업용저수지와 그 주변을 꾸며 2017년에 만든 공원으로, 그 '이름값'을 하지 못하다 최근 '달구벌 핫플'로 부상했다. 수면 위 초대형 .. 2021. 7. 26.
읍내동 마애불상군 대구 읍내동마애불(안양사 마애미륵불) 대구에 가면 꼭 한번 들러봐야 할 마애불이 있는데, 바로 북구 읍내동에 위치한 마애불상군이다. 2011년 10월 25일 위덕대 박물관 측은 이 읍내동 마애불에서 좌우의 선각상 30구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W자를 뒤집어 놓은 형태의 대형 바위 가운데 돌출된 부분에 높이 1.8m의 본존불이 조각돼 있고 그 좌우상하에 총 33구의 크고 작은 조각품이 새겨져 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불상이 조각된 삼국시대 불상군으로 확인되었다. 사실 이 불상군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90년대 중반 대구지역 유물ㆍ유적에 대한 전수조사 때는 특별한 문화재적 가치가 없다는 평가가 내려지기도 했다. 삼국시대 불상으로 보이긴 해도 뾰족한 코 등은 우리의 전통불상과는 그 양식.. 2021. 7. 25.
신무동 마애불좌상(新武洞 磨崖佛坐像) 신무동 마애불좌상(新武洞 磨崖佛坐像)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불상 높이 89㎝, 광배 높이 120㎝.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사방 4m 내외의 바위 남면에 조각된 불상이며, 바위의 좌측 상단을 감실(龕室: 궁전 안의 옥좌 위나 불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 형태로 다듬어서 불상을 조각하였다. 상호(相好: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훼손이 심하다. 그리고 왼쪽 어깨와 광배(光背: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에도 보수한 흔적이 있다. 머리부터 무릎까지 불신의 조각은 고부조(高浮彫: 높은 돋을새김)이나 연화대좌는 저부조(低浮彫: 얕게 만드는 돋을새김)로 처리하였다. 불상의 머리는 나발(螺髮.. 2021. 5. 27.
팔공산 부인사 부인사(符仁寺, 夫人寺)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팔공산(八公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부인사(符印寺) 또는 부인사(夫人寺)라고도 일컬어진다. 부인사지(符仁寺址)는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어 있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예로부터 선덕묘(善德廟)라는 사당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된 사찰로 추정된다. 불교가 흥왕하였던 신라와 고려 때에는 약 2,000명의 승려가 수도하였다고 하며, 고려 현종 때부터 문종에 이르기까지 이곳에 도감(都監)을 설치하여 완성했던 고려 초조대장경(初彫大藏經)의 판각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초조대장경은 몽고의 침입 때 대부분 불타 없어지고, 현재 일본 경도(京都)의 남례사(南禮寺)에 1,715판이.. 2021. 4. 24.
팔공산 케이블카 팔공산 케이블카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185길 51(용수동). 경사가 있고 긴 코스이기에 경치를 구경하면서 동시에 스릴도 함께 누릴 수 있다. 케이블카 정상역은 신림봉 꼭대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비로봉 정상에 있는 제천단과 동쪽 갓바위 부처님과 함께 기복신앙의 대표적인 장소이다. 케이블카 정상역은 제천단과 대구월드컵경기장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봉황이 날개를 펴고 날아오르는 형상에서도 몸통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풍수지리적으로도 아주 좋은 기운을 가진 곳이다. 2021. 4. 24.
동화사 법화보궁(桐華寺 法華寶宮) 동화사 법화보궁(桐華寺法華寶宮) 동화사 법화보궁은 한국 선불교의 역사와 전통을 재정립하고 동양 정신문화의 진수인 참선[간화선] 수행을 세계에 전파하고 국내외에 선과 명상, 수행 등 ‘마음 닦기’를 알리기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있는 팔공총림 동화사 내 약사여래불 지하 1층에 선을 테마로 한 체험관을 조성했다. 동화사 법화보궁은 2012년 4월 1일 선(禪) 체험관을 주된 테마로 동화사 불교문화관이라는 명칭으로 개관했다. 2014년 7월 1일 능도 덕문 주지가 소장하던 석가모니 진신사리 7과를 이운(불화나 불구 등을 다른 장소로 옮길 때 하는 의식)하면서 법화보궁(法華寶宮)으로 개칭하였다. 동화사 법화보궁에는 국제관광 전통 선(禪) 수행관이 있다. 전통 선 수행관 둘레에는 초조대장경 밀레니엄관, 선.. 2021. 4. 20.
동화사 통일약사대불 동화사 통일약사대불 불상은 재료면에서 석조(石造), 소조(塑造), 동조(銅造), 목조(木造) 등으로 분류하며, 형태면에서 입상(立像), 좌상(坐像), 와상(臥像) 등 종류가 있다. 통일약사대불은 돌로 만들어져 서 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석조 입상에 해당한다. 불상(佛像)은 말 그대로 깨달은 자의 형상이라는 의미로서 대중들이 꾸준히 기도드릴 수 있는 대상으로 조성되어 왔다. 그 가운데 대불(大佛)은 특별히 거대하게 만든 불상으로 일반적으로 높이가 4.8m 이상인 불상을 지칭한다. 이때 4.8m라 함은 옛 문헌에 남아 있는 1장 6척의 크기를 오늘날 수치로 환산한 것이다. 전설에 따르면 석가모니의 키가 1장 6척에 이르렀다고 전한다. 그런 연유로 흔히 장육불상(丈六佛像)이라 일컫는 크기의 불상은 동경할 .. 2021. 4. 19.
팔공산 파계사 팔공산 파계사(把溪寺) 대구 동구 파계로에 영조의 출생 설화가 전해지는 사찰, 파계사가 있다. 804년(애장왕 5) 심지(心地)가 창건하고, 1605년(선조 38) 계관(戒寬)이 중창하였으며, 1695년(숙종 21) 현응(玄應)이 삼창하였다. 이 절에는 영조(英祖)의 출생과 관계되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숙종의 부탁을 받은 현응은 농산(聾山)과 함께 백일기도를 하였고, 기도가 끝나는 날 농산이 숙빈(淑嬪) 최씨에게 현몽하였으며, 이렇게 태어난 아들이 후일의 영조였다는 것이다. 숙종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파계사 주변 40리 이내의 조세(租稅)를 받아 쓰라고 하였으나 현응은 이를 거절하고 선대의 위패를 모시기를 청하였다. 이는 지방 유림(儒林)의 행패를 막으려는 것이었다. 1979년 관음보살상을 개금 할 .. 2021. 4. 17.
대구 파계사(把溪寺) ###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조선조 오백년은 적어도 불교에 있어서는 고되고 무참한 시대였다. 약간의 기복이 있기는 했지만 국가정책에 의해 종파는 통폐합되고 사찰이 폐쇄되었으며 토지가 몰수되었다. 간혹 이런 가혹한 수탈을 피할 수 있는 경우가 없지는 않았다. 태봉이나 태실의 .. 2016. 7. 15.
대구 동화사(桐華寺)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팔공산(八公山)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이다. 493년(소지왕 15) 극달(極達)이 창건하여 유가사(瑜伽寺)라 하였다. 그 뒤 832년(흥덕왕 7) 왕사 심지(心地)가 중창하였는데, 그 때가 겨울철임에도 절 주위에 오동나무꽃이 만발하였으므로 동화사로 고.. 2016.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