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삼년산성(報恩 三年山城)
보은읍 동쪽 오정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산성이며 우리나라 산성을 대표할 만한 대단한 석축산성이다. 속리산 쪽을 향해 보은 시가를 벗어나자마자 곧 오른쪽으로 삼년산성 가는 길이 갈라진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삼년산성은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고 소지왕 8년(486)에 이찬 실죽을 장군으로 삼아 일선(지금의 구미시 선산읍 일대)의 장정 3,000명을 징발하여 개축하였다고 한다.
보은은 지증왕 3년(553) 삼년산군이 되었고 경덕왕 1년(742)에는 삼년군으로 바뀌었다.
이때 삼년산 · 삼년이라는 지명이 삼년산성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거꾸로 먼저 이 지역의 이름이 있고 거기서 산성 이름을 붙였을 수도 있다.
어쨌든 『삼국사기』에는 성을 다 쌓는 데 3년이 걸렸으므로 삼년산성이라 했다고 적혀 있다. 나중에는 오정산에 있는 산성이라 하여 오정산성이라 불리기도 했다.
이 지역은 대전 · 청주 · 상주 · 영동으로 연결되는 요지로서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가 영토를 다투던 분쟁지였다.
신라는 상주 사벌성을 점령하고 보은으로 나와 백제의 남진에 대비하여 이 성을 쌓았다.
이때는 백제가 한성에 도읍을 두고 있었는데 이후 백제가 웅진(공주)으로, 사비(부여)로 천도한 후에도 삼년산성은 신라가 서쪽의 백제에 대비하고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면서 서북지방으로 나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전초기지였다.
즉 삼년군 지역의 확보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루는 데 가장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삼년산성이 말 그대로 난공불락의 요새였음을 알기 위해 위와 같은 역사적 사실을 다 들먹일 필요는 없다.
찾아가서 그 성벽을 돌며 눈으로 보기만 하면 누구나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세월이 오래되어 많은 부분이 무너져 내렸지만 동남쪽 성벽은 제 모습을 지닌 부분이 많다.
벽돌로 쌓기라도 한 듯 빈틈도 없는 거무스름한 석벽이 밑에서 올려다보기도 까마득하고 위에서 내려다보기도 아슬아슬한 높이로 능선을 따라 일렁거린다.
무너져 너덜을 이룬 곳까지도 장대하여, 보는 사람은 우선 말을 잃게 된다. 이런 것을 쌓은 사람들과 이런 곳을 공략해야 했던 사람들의 의지나 집념, 그들의 시대에 생각이 닿는 것은 그 다음의 일이다.
거의 수직으로 선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13m에서 20m에 이르고 위쪽의 너비는 8~10m쯤 된다.
이처럼 크고 높다보니 하중도 엄청나서 모퉁이 쪽에는 기초를 4중 계단식으로 튀어나오게 쌓아 힘을 받도록 했다.
성은 남동 · 북동 · 북서의 봉우리를 이은 능선을 따라 병풍처럼 이어지고 안쪽은 골짜기를 이룬 포곡식 산성이다.
성안의 물은 낮은 골짜기를 이룬 서쪽으로 빠져나가게 되어 있다. 둘레는 1.7㎞쯤 되며 안에는 논과 밭, 민가도 있었지만 지금은 빈터이다. 성안에 마을이 있던 때 그 마을은 삼년성, 성 바깥 마을은 성밑이라 불렸다.
'여행-충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천 농다리, 「생거진천 사거용인: 生居鎭川 死居龍仁」의 전설 (0) | 2021.10.20 |
---|---|
영동 월류봉(한천팔경) (0) | 2021.10.20 |
<중원 미륵 사지(中原 彌勒寺址)> (0) | 2021.03.11 |
제천 배론성지 (0) | 2021.03.10 |
제천 청풍나루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