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사(栗谷寺)
경남 산청군 신등면 모례리 지리산(智異山)에 있는 절.
651년(진덕여왕 5)원효(元曉)가 창건하였고, 930년(경순왕 4)감악(感岳)이 중창하였다. 그러나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의 역사는 자세히 전하지 않고 있다.
전설에 따르면 이 법당을 중창할 때 어떤 목공이 찾아와 절을 짓는 일을 자청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석 달 동안 다른 일은 전혀 하지 않고 목침만을 만들었으므로 답답하게 여긴 이 절의 승려는, 목공을 시험하기 위하여 목침 하나를 몰래 숨겼다.
그런데 목침 만들기를 다한 목공이 수를 세어 보더니 갑자기 안색이 변하면서 “내 정성이 부족하여 목침이 하나 모자라니 이와 같은 귀중한 법당을 건립할 수 없다.”고 하면서 연장을 챙겨 떠나려 하였다.
그때 승려가 숨겨 놓은 목침을 내놓으면서 사죄하므로, 명공(名工)은 마음을 돌려 이번에는 목침을 조립해 나가는데, 힘들이지 않고 건물의 틀을 짜서 올렸다고 한다.
이 법당은 못을 전혀 쓰지 않고 조립한 것이므로 일명 목침절이라고 불린다. 대웅전 밑의 땅에서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찬 영천(靈泉)이 샘솟고 있으며, 이 절 오른쪽의 암봉(巖峯) 셋 중 가운데 있는 봉우리를 새신바위(鳥神巖)라고 한다.
원효가 이 바위에 올라가서 지금의 절터를 잡았다고 한다. 또 대웅전을 지은 명공이 법당을 단청할 때 7일 동안은 절대로 안을 들여다보지 말라고 했는데, 그가 안으로 들어간 뒤에 아무런 기척이 없으므로 궁금증을 못 이긴 승려가 7일째 되는 날, 문틈으로 안을 엿보았더니 새 한 마리가 붓을 물고 날아다니면서 벽화를 그리다가 일을 끝내지 못한 채 날아가 버렸는데, 그 새가 자취를 감춘 곳이 바로 이 바위였으므로 새신바위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새신바위 전설>
단일바위로는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크다는 새신바위. 율곡사 단청에 얽힌 전설이 자태를 한층 신비롭게 한다.
전설부터 풀어보자면 내용은 이렇다. 율곡사 뒤편 산봉우리에 수십 길이나 되는 암벽이 있다. 원효대사가 절터를 잡을 때 이 바위에 올라서서 율곡사 터를 정했다는 곳이다.
율곡사의 대웅전을 중창할 때 한 목수가 찾아와 일을 자청했다. 단청 작업이 시작되자 목수는 법당 안에 틀어박히면서 앞으로 7일 동안 아무도 안을 들여다보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하지만 며칠째 아무런 인기척이 없자 호기심을 참지 못한 상좌승이 이레째 되던 날 결국 몰래 문틈으로 법당 안을 들여다보았더니 새 한 마리가 붓을 물고 날아서 단청을 그리다가 그만 붓을 떨어뜨리고 날아가, 이 바위에서 자취를 감췄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이 바위를 새신바위(鳥神巖:조신암)라고 부른다고 한다. 지금도 율곡사 법당의 천장 밑 좌우 벽면 산수화 그림 두 점이 미완성으로 남아 있다고 한다.
'호기심이 고양이를 죽인다'는 말처럼 인간의 무분별한 호기심과 조바심을 경고하는 이 이야기는 유사 이래 세계 곳곳에서 비슷한 원형설화를 만날 수 있다.
사랑하는 아내를 지옥에서 데려오다 절대 뒤돌아보지 말라는 경고를 무시하고 아내의 절박한 부름에 고개를 돌렸다가 영원히 아내를 잃고 만 그리스 비극의 오르페우스 설화나, 소돔 멸망 당시 뒤를 돌아보지 말고 피하라는 신의 경고를 무시했다가 소금기둥이 되고 만 성경 속의 롯의 아내 이야기가 그렇다.
인색한 부자가 스님에게 쇠똥을 준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여 몰래 시주한 장자의 며느리가 스님이 제시한 금기를 어겨 바위가 되었다는 이야기인 '장자못 설화'는 전국 곳곳에서 전해져 내려온다.
'여행-경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청 남사 예담촌과 원정매(元正梅) (0) | 2015.05.13 |
---|---|
산청 동의보감촌(東醫寶鑑村) (0) | 2015.05.13 |
남해 화방사(花芳寺) (0) | 2015.01.19 |
거제 산방산 비원 (0) | 2015.01.19 |
통영 욕지도 새에덴동산 (0) | 201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