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승대(搜勝臺)
경남 거창군 위천면에 있는 명승지이다.
화림동, 심진동, 월성계곡을 일러 함양군 안의면의 안의삼동(安義三洞)이라 한다.
거연정이 있는 화림동. 심원정이 있는 심진동. 그리고 수승대가 있는 월성계곡을 이르는 말이다.
이 세 곳이 예전엔 함양군 안의군의 관할이어서 그런 이름이 붙었으나 지금은 행정구역이 나뉘져 화림동과 심진동은 안의면에 속한 함양 땅이고, 월성계곡은 거창 땅이다.
수승대는 덕유산에서 발원한 갈천이 위천으로 모여 구연(龜淵)을 만들면서 빚어 놓은 거북 모양의 커다란 천연 바위 대(臺)이다.
대의 높이는 약 10m, 넓이는 50㎡에 이르며 그 생김새가 마치 거북과 같아 구연대(龜淵臺) 또는 암구대(岩龜臺)라고도 한다. 또 수많은 현인들과 은사들이 찾았던 대라 하여 모현대(慕賢臺)라 불렀다.
수승대는 옛날 백제의 국세가 쇠약해져서 멸망할 무렵 백제의 사신을 이 대(臺)에서 송별하고 돌아오지 못함을 슬퍼해 처음에는 근심 수(愁), 보낼 송(送)자를 써서, 수송대(愁送臺)라 하였다.
1543년 이황 선생이 거창을 지나면서 그 내력을 듣고 이름이 아름답지 못하고 수송과 수승이 소리가 같으므로 ‘수승(搜勝)’으로 고친다고 이른 4율시에서 비롯됐다. 바위둘레에는 이황 선생의 옛 글이 새겨져 있다.
“수송을 수승이라 새롭게 이름 하노니/봄을 만난 경치 더욱 아름답구나/먼 산의 꽃들은 방긋거리고/응달진 골짜기에 잔설이 보이누나/나의 눈 수승대로 자꾸만 쏠려/수승을 그리는 마음 더욱 간절하다/언젠가 한 두루미 술을 가지고/수승의 절경을 만끽 하리라”
여기 월성계곡에 자리잡은 이 수승대는 그 이름 만큼이나 유명한 관광지다.
수려한 경관과 월성천의 풍부한 물도 그렇지만, 구연서원((龜淵書院: 조선 중기의 문인인 성팽년(成彭年)과 신수이(愼守彛), 신권(愼權)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후세 사림들이 세웠다)과 관수루(觀水樓)와 거북바위, 원각사와 요수정(樂水亭) 등의 볼거리가 많다.
1. 구연서원(龜淵書院)으로 들어가는 문인 관수루(觀水樓).
관수로는 2층 루각인데 아랫층 기둥이 아주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2. 산고수장(山高水長)이라 새긴 커다란 비석이 있다.
이곳에 터를 잡은 요수 신권 선생의 학문과 인품이 산처럼 높고 물처럼 길다는 의미의 비석이라고 한다.
3. 관수루에서 바라 본 거북바위와 요수정(樂水亭) 풍경이다. 또는 요수정에서 바라 본 거북바위 모습이다.
계곡 한 가운데 있는 거북바위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시를 새기고 자기 이름을 새겼다.
흙 한 줌 없는 바위 위에도 소나무는 싱싱하게 자란다.
왜 거북바위란 이름을 얻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모습이다.
금방이라도 물속으로 들어갈 태세다.
4. 요수정(樂水亭)은 요수 신권 선생이 지은 아름다운 정자다.
이런 곳에 요수정(樂水亭)이란 정자를 지은 이가 부럽다.
5. 구연서원(龜淵書院)에서 요수정(樂水亭)으로 건너 오는 다리다.
물이 많고 물살이 세서 사고가 잦으니 다리를 놓았나 보다.
6. 수승대(搜勝臺) 앞 월성계곡은 소문난 피서지다.
월성천의 맑고 많은 물은 피서객에게 행복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