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지(南旨) 개비리길
창녕군 남지읍 영아지마을에서 용산리 마을에 이르는 강변 절벽 길, 또는 남지읍 용산리 마을에서 영아지 마을로 가는 강변 절벽길을 “'개 비리길(약 4km)”'이라고 한다. 강가의 절벽에 오솔길이 나게 된 전설이 아름답다.
옛날 영아지 마을의 어느 집에서 키우던 개가 용산리 마을로 팔려가 헤어진 여자 친구(개)를 만나러 다니면서 길이 나게 됐는데, 개가 처음에 낸 길이라 해서 개비리길이라 불렀다.
원래 ‘개 비리’라는 말은 두 가지의 뜻이 있다. 개는 ‘물가’를 뜻하는 말이고 비리는 ‘벼랑’의 이곳 토박이 말이다. 그러니까 ‘강가의 벼랑길’이라는 뜻이다.
옛날 아지리(영아지, 창아지) 주민들이 남지읍 오일장에 가기 위해서 살짝 넓혀 이용하였던 것이 개비리길의 시초다.
이 길은 차를 타고 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두 사람이 나란히 걸을 수도 없다. 한사람이 지날 정도의 폭과 떨어지면 강으로 풍덩 빠질 듯 아찔한 길이 강변을 따라 좁은 벼랑길과 소롯길이 연결되어 있다.
느릿느릿 걸어야 딱 어울리는 길이다. 길을 걷다가 낙동강의 경관을 바라보며 쉬어갈 수 있는 공간도 여러 군데 있다. 남강과 낙동강이 만나는 보기 드문 풍광이 산수화를 보는 듯하다.
개비리 길 입구는 용산리에서는 500m정도의 경운기 길을 지나 양수장을 지나면 진정한 개비리길. 깎아지른 절벽에 좁은 길이 이어진다. 길 입구부터 옛길 그대로 잘 보호되어 있다.
낙동강 700리 중 이곳 창녕부근 150리 연이은 길들이 5군데 정도 있다. 그중 개비리길이 가장 아름다운 길이다.
요즘 자연에서 보기 어려운 으름덩굴이 소나무를 감싸고 올라간 풍경이 무척아름답다. 각종 식물들이 돌 틈에서 자라는 풍광은 그 지역의 특수한 환경에 적응한 결과다.
쉬엄쉬엄 쉬어가면서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있는 행복한 걷기 여행코스로 충분하다. 자연은 자연의 모습 그대로 일 때 가치를 더한다.
마삭줄이 길 전체에 걸쳐서 지천으로 있다. 마삭줄 덩굴 오솔길 따라 생명력 강한 식물들이 바위벼랑에 붙어 눈을 시원하게 해준다.
주엽나무, 물푸레나무, 자귀나무 부처손 등 진귀한 풀과 나무가 쉼 없이 이어져있다. 중간쯤 가다보면 보기에도 너무나 시원한 대밭이 있다.
천연 원시림으로 돌아가고 있는 것 같다. 대밭의 한 모퉁이에 사람이 살지 않는 집한 채가 있다. 회락정이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아마도 낙동강이 둥글게 원을 그리며 돌아간다는 의미에서 회락정이라 한듯하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모이면 즐겁다.’ 마을 사람들의 모여 풍류를 즐긴 곳이라 한다. 개비리길 근처는 ‘임진왜란 때 곽재우 장군과 의병들이 육지에서 첫 승리를 거둔 기음강(岐音江: 남강과 낙동강이 합쳐지는 이곳을 기음강) 전투의 역사적 현장이며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최후 방어선으로 남지철교와 전쟁의 상흔이 남아 있는 곳’이라한다.
남지 개비리길 가는 길
1) 남지읍 - 창아지마을 - 영아지 마을에 도착해서 영아지 나룻터의 제방에 주차한 후 진입해서 대나무가 있는 회락정을 반환점으로 다시 나오는 교통편이 좋다.
2) 남지읍 용산리 ‘억새 전망대’앞 제방에 주차한 후 강변을 따라 500m전방 양수장에서 개비릿길 시작. 영아지마을에서 다시 되돌아 나온다. 느릿 느릿 1시간 30분(왕복)
'여행-경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녕 영산 만년교 (0) | 2021.09.30 |
---|---|
창녕 남지 철교전망대 (0) | 2021.09.30 |
창녕 교동고분 (0) | 2021.09.30 |
창녕 청룡암(관룡산) (0) | 2021.09.30 |
창녕 관룡사 용선대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