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국 사찰 & 함께 가고 싶은 곳
여행-전북

구례 지리산 천은사

by phd100 2021. 10. 19.

 

천은사(泉隱寺)

전남 구례군 지리산 노고단 성삼재로 올라가는 길목에 천은사가 있다.

통일신라시대 828년(흥덕왕3)에 덕운선사(德雲禪師)와 인도에서 온 승려 스루가 창건하였고, 경내에 이슬처럼 맑고 찬 샘이 있어 이름을 감로사(甘露寺)라 하였다.

임진왜란으로 피해를 입어 불탄 뒤 중건할 때, 샘에 큰 구렁이가 자꾸 나타나 잡아 죽였더니 샘이 솟아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름을 샘이 숨었다는 뜻으로, 천은사(泉隱寺)라고 바꾸자 그 뒤로 원인 모를 화재와 재앙이 끊이지 않았다.

사람들은 절을 지키는 구렁이를 죽였기 때문이라고 두려워했다. 이 소식을 들은 조선 4대 명필의 한 사람인 이광사(李匡師)가 ‘지리산 천은사’라는 글씨를 물 흐르는 듯 한 서체로 써서 일주문 현판으로 걸었더니 그 뒤로 재앙이 그쳤다고 한다.

“智異山 泉隱寺” 현판글씨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 세로로 쓴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금도 새벽녘 고요한 시간에 일주문에 귀를 기울이면 현판 글씨에서 신운(神韻)의 물소리가 연연히 들린다고 전해온다.

 

현재 20여 동의 건물이 있다. 법당인 극락보전은 다포양식을 갖춘 화려한 건물로, 조선시대 후기의 대표적 예로 꼽힌다.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는 18세기 한국 불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수홍루(垂紅樓)

수홍루는 계곡을 건너 절간으로 들어가는 무지개다리 위에 만들어진 정자다. 천은지에 비친 수홍루 물그림자는 가히 절경으로 여름이면 찬바람이 절로 일어 피서지로 그저 그만이다

 

감로수

수홍루를 건너면 달고 시원한 샘물로 목을 축일 수 있다. 이른바 감로수(甘露水)다. 바위를 다듬어 만든 홈통에 맑은 물이 고이게 만든 감로수는 천은사의 상징이기도 하다

 

極樂寶殿

極樂寶殿은 아미타불을 주불로 모신 곳이며, 아미타(ami tabha)불은 영원한 수명(無量壽)과 무한한 광명(無量光)을 보장해 주는, 즉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영원한 부처님이라는 뜻인데 서방 극락정토를 구제하면서 뭇 중생들에게 안락과 수명을 보장해 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부처님이다. 右협시보살로 관음보살, 左협시보살로 대세지보살과 함께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다. 대세지보살 대신 지장보살이 등장하기도 한다.

 

조선시대 불전건물,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이 건물은 조선 중기 이후의 전통적인 다포계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極樂殿아미타후불탱화

극락전의 아미타불화. 1776년(영조50년) 만든 것으로 삼베바탕에 채색, 세로 360㎝, 가로 277㎝, 아미타불과 8보살, 10대 제자, 사천왕 등 수많은 천문중이 묘사된 대표적인 군도식 불, 보살, 사천왕, 10대 제자 등에 각기 그 명칭이 적혀 있어 아미타불화 연구에 대단히 중요한 작품이다.

 

금동불감

고려시대의 금동불감과 금동불상, 전체 높이 43.3㎝, 너비 38㎝, 불상 높이 16.5㎝, 불감은 우진각식 불전형식인데 정면 전체를 여닫이식 2개의 문으로 구성하여 문을 열면 불상군을 배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예배나 의식 때만 열도록 한 불감의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기왓골이 선명한 지붕이나 벽면과 기단과의 짜임새 등은 당시의 건축양식을 잘 알 수 있게 한다.

 

영산 회상도

팔상전에 있는 영산 회상도, 1715년(숙종 41년)작, 삼베 바탕에 채색, 세로 162.5㎝, 가로 186㎝, 보존의 머리 좌우에 각 셋씩 묘사된 화신불이 없어진 대신 6대 제자에서 10대 제자로 증가되는 등 일반적인 영상도와 약간의 변화가 있다.

 

제석천릉도

화엄신중과 천룡의 그림. 1833년(순조 33년) 작.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165㎝, 가로 119㎝, 화엄신중도량과 천룡은 이미 고려시대에 설치한 적이 있으며, 특히 조선 후기에는 많은 수의 신중탱화가 조성되었는데, 그 유형은 제석그림, 제석금강그림 등이 있다.

 

칠성도

1749년(영조 25)작, 비단 바탕에 채색, 화폭을 3단으로 나누어서 중앙에 치성광삼존을 배치하고 그 상단에는 칠성을, 중단·하단에는 28수와 3대 6성을 배치한 3단구도의 칠성도이다.

 

범종

조선종으로 5척에 가까운 대형 범종이다. 원래 1715년에 전라도 용담(龍潭) 남령(南嶺) 서줄산(西窋山) 숭암사(崇岩寺) 범종으로 주성되었으나 절이 폐사된 후 천은사로 옮겨졌다.

 

 

'여행-전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창 용궐산(龍闕山) 하늘길  (1) 2023.03.04
진안 마이산 탑사  (0) 2021.10.19
남원 지리산 정령치  (0) 2021.10.19
남원 실상사  (0) 2021.10.19
남원 지리산 달궁  (0) 2021.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