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사(留鶴寺)
경남 의령군 부림면 북방리미타산(彌陀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다. 통일신라시대 초기에 창건된 사찰이라고 하나 창건자는 미상이다.
창건 당시에는 미타산의 8부 능선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조선 초기의 왕사(王師)였던 무학(無學)이 이곳에 들러서 사찰의 앉은 위치가 풍수지리상으로 맞지 않는다고 하여 1399년(정종 1)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서 중창하였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 부근의 형세가 마치 날아가 학의 형상을 닮았다고 하고, 예전에 유학사가 있던 자리는 그 학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였다하니 학의 머리에 절이 앉아서는 아니되고, 지금의 위치에 사찰이 있어야만 학이 마치 절을 품고 있는 형상이 되어서 좋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찰의 이름도 『학이 절을 품은 채 머무른다』는 뜻으로 유학사라 하였다고 한다. 이 때가 조선초기 정종2년(1399년)이라 알려지고 있으며 그 뒤 무학대사는 오랫동안 이 유학사에 머물고 있다가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이 말은 지금에 와서 상고할 길이 없고, 다만 그러한 전설이 구전되고 있다는
그 뒤 1780년(정조 4) 4월에 승통(僧統) 치유(緇裕)가 시주하여 전각(殿閣)을 중수하였으며, 1900년 10월에는 경룡(敬龍)·초해(楚海)·정선(正善) 등이 대웅전을 중수하고 단청하였다. 1927년에는 금호(錦湖)가 칠성각을 신축하였고, 혼명(混溟)이 요사채를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남향으로 자리 잡은 극락전을 중심으로 맞은편에 만세루, 극락전 왼쪽에 종각, 극락전 오른쪽으로 요사 두 동이 아래·위로 배치되어 있다. 칠성각은 요사 뒤쪽의 계단 위쪽에 있다.
주법당인 극락전은 정면 3칸·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집으로 내부 불단에 금동아미타삼존불상을 모시고 있다. 원래 오동나무로 만든 목조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었다가 1980년대에 어디론가 이운되었다 한다.
그때 삼존불 중 주존불을 본떠 석고상으로 남겨 두었는데 2002년 새로 조성한 현재의 주존불은 그 석고상과 같은 모습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한다.
만세루(萬歲樓)는 루(樓)의 입지 즉 사찰의 정문에 해당하는 자리에 있지만 실제 누각 형식의 건물이 아니다. 단층 건물인 데다 누문도 없으며, 툇마루가 달린 요사채 형태를 취하고 있다. 건물 뒤편에 걸려 있는 편액도 유학사(留鶴寺)라고 되어 있지만 사찰에서는 만세루라고 부른다. 이 건물에는 1900년 이태현(李泰鉉)이 지은 ‘법당중수기’ 등 유학사의 연혁을 알려주는 현판들이 보관되어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전을 중심으로 만세루(萬世樓) · 칠성각 · 요사채 2동과 객실 1동이 있다. 정면 3칸의 대웅전에는 석가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조선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추정된다. 이 밖에도 경내에는 최근에 조성한 5층 석탑 1기와 석등 1기가 있다.
'여행-경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령 수도사 (0) | 2020.01.01 |
---|---|
함안 채미정과 서산서원 (0) | 2020.01.01 |
함안 악양루 (0) | 2020.01.01 |
함안 처녀뱃사공노래비 (0) | 2020.01.01 |
남해 금왕사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