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전국 사찰 & 함께 가고 싶은 곳

불교 얘기22

봉청필추가람신위(奉請苾芻伽藍神位) 란? 봉청필추가람신위(奉請苾芻伽藍神位) “봉청필추가람신위(奉請苾芻伽藍神位)”는 화엄신중(華嚴神衆) 중에서 가람신(伽藍神:사찰을 지키는 신)을 부르는 지방(紙榜) 문구이다. 원래는 “봉청수호섭지일체필추가람신(奉請守護攝持一切苾芻伽藍神)”으로 써야 한다. 가람신(伽藍神)은 화.. 2020. 3. 25.
반야심경(般若心經) 해설 반야바라밀다심경 [般若波羅蜜多心經] = 반야심경(般若心經) (마하는 크다(대), 많다(다), 초월하다(승)의 뜻이고, 반야는 지혜, 깨달음의 뜻이며, 바라밀다는 저 언덕에 이르다(도피안)는 뜻이다. 심경은 핵심이 되는 부처님의 말씀이란 뜻이다. 일체를 초월하는 지혜로 피안에 도달하는 가.. 2020. 3. 25.
반가사유상의 다리 위치 반가사유상의 다리 위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된 한국과 일본의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을 보면서 다리 위치를 유심히 보면, 왼쪽 다리를 무릎에 올려놓았는가, 아니면 오른쪽 다리를 올려놓았는가이다. 어떤 쪽 다리를 무릎에 먼저 놓느냐에 따라 인체의 에너지 흐름이 달라진다고 .. 2020. 3. 25.
왕궁, 사찰건물 추녀마루위의 잡상(雜像) <왕궁, 사찰건물 추녀마루위의 잡상(雜像)> 궁전, 문묘, 성루, 사찰의 전각 등의 내림마루 또는 추녀마루 끝에 여러 신상(神像)이나 수신(獸神)을 조각하여 일렬로 놓는 작은 짐승 형상들을 잡상(雜像)이라 말한다. 이들은 모두 10 개로, 중국 명나라의 장편 신괴(神怪) 소설인 「 서유기.. 2019. 5. 5.
풍경 대웅전 추녀 밑 풍경에 물고기를 매달아 놓은 이유 ? 그윽한 풍경소리, 풍경의 끝에는 물고기가 달려있다. 물고기가 바람을 맞아 흔들려 풍경소리를 울려 퍼지게 한다. 1) 풍경의 의미는 무엇일까? 아마도 부처님이 계신 곳에 귀신들이 싫어하는 종소리를 울리게 함으로써 귀신들의 근접을.. 2017. 9. 20.
풍경에 물고기를 ? 대웅전 추녀 밑 풍경에 물고기를 매달아 놓은 이유 ? 그윽한 풍경소리, 풍경의 끝에는 물고기가 달려있다. 물고기가 바람을 맞아 흔들려 풍경소리를 울려 퍼지게 한다. 그런데 왜 이 풍경에 물고기를 매단 것일까? 1) 대웅전 기둥을 등지고 풍경 끝에 매달려 있는 물고기를 한번 올려 다 보.. 2017. 9. 14.
아미타재일(阿彌陀齋日) ◇ 아미타재일(阿彌陀齋日) 아미타재일(阿彌陀齋日)은 매월 음력 15일에 아미타여래에게 재를 올리는 날이다. 아미타여래는 다른 말로 무량수불이라고 하며 “수명이 끝이 없다” 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수명을 뜻하는 미타에 없다는 접두사 '아'를 붙여서 아미타불이 된 것입니다. 그런.. 2017. 7. 4.
관세음보살의 14무외(十四無畏) ☆ 14과 염주가 뜻하는 관세음보살의 14무외(十四無畏) 염주의 14과는 관세음보살의 14무외를 표시한다. 세존으로 부터 십사종(十四種)의 무외공덕(無畏功德)을 얻은 관세음보살의 14무외(十四無畏)는 무엇인가? 14과 염주는 관세음보살의 14가지 무외(無畏)를 상징하는 것으로써, 14과 염주를.. 2017. 4. 20.
기도하는 여인(유지나) 구름 도는, 심산계곡, 작은 암자에, 백팔염주, 돌려가며, 기도하는 저 여인. 무슨 사연이 저리 깊어, 구곡간장 애를 태우며, 기도하는 저 여인, 백팔염주에 눈물적시네. 산새 우는, 심산계곡, 작은 암자에, 백팔번뇌, 가슴안고, 기도하는 저 여인. 무슨 슬픔이 저리 많아, 구곡간장 애를 태우.. 2017. 2. 3.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유지나)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즐거움은 덧없어, 슬픔도 부질없어, 밤새는 슬피 울고, 촛불만 외로이 타네. 터질 것 같은 이 아픔. 님이시여 잊게 하소서. 님이 있어, 나 있는 것. 이 슬픔 잊게 하소서. 나무아미.. 2015.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