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08 남해 죽방렴 죽방렴(竹防簾) 대나무 어사리라고도 하며, 조선시대에는 방전으로 불렀다. 간만의 차가 큰 해역에서 옛날부터 사용되던 것으로, 지방에 따라 날개 그물의 규모나 원통의 모양 등이 여러 가지다. 1469년(예종 1년) 《경상도 속찬지리지》 <남해현조편>에 나오는 가장 오래된 전통은 경.. 2013. 12. 11. 남해 노도 서포유배지 노도(櫓島) 노도는 남해군에 있는 다섯 개 섬 중 유인도로 있는 하나의 섬이다. 상주면 백련마을 선착장에서 통통배를 빌려 타고 잔잔하고 비단결 같은 푸른바다 '앵강만'을 바라보면서 약 10분정도 물살을 가르면 동백꽃들이 섬 둘레를 감싸고 있는 노도마을 선착장에 도착하여 내리면 서.. 2013. 12. 11. 남해유배문학관 남해유배문학관(南海流配文學館) 경남 남해군 남해읍 남해대로에 있는 ‘남해유배문학관’은 국내 최대 문학관으로 유배문학을 연구하고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2010년 개관되었다. 권력도 부귀영화도 모두 빼앗긴 채 '유배'라는 백척간두에 선 절망적인 삶 속에서도 문학과 예술을 꽃 피.. 2013. 12. 11. 남해 금산과 보리암 금산(錦山) 남해도에는 화방사를 품고 있는 망운산(望雲山, 759m)과 용문사가 있는 송등산(松登山,617m), 보리암이 있는 금산(錦山, 701m)이 있는데 이 가운데 금산만한 산이 없어 이 금산을 소금강(小金剛)이라 부르기도 한다. 경치가 얼마나 빼어난지 바다를 내려보는 금산을 예로부터 모두 3.. 2013. 12. 11. 남해 여행(관음포, 용문사, 가천마을) ★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유허(觀音浦李忠武公戰歿遺墟): 경남 남해군 고현면(古縣面) 소재. 관음포 앞바다인 이락파(李落波)와 노량을 잇는 해역은 임진왜란 · 정유재란 최후의 해전이 있었던 곳으로, 충무공이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를 추격하다가 적의 유탄을 맞고 장렬한 .. 2013. 12. 10. 여자라고 함부로 건드리지 마... 여자라고 함부로 건드리지 마... 2013. 12. 9. 웬 떡이야 웬...? 2013. 12. 9. 우중의 여인 우중의 여인 ♬ 장대 같이 쏟아지는, 밤비를 헤치고, 나의 창문을 두드리며, 흐느끼는 여인아. 만나지 말자고, 맹세한 말 잊었는가? 그대로 울지 말고 돌아 가다오. 그대로 돌아 가다오. 깨무는 그 입술을 보이지를 말고서. ♪ ♬ 바람 불고 비오는 밤, 어둠을 헤치고, 우산도 없이 걸어가는 .. 2013. 11. 29. 한사람 한사람 한 사람 여기, 또 그 곁에. 둘이 서로 바라보며 웃네. 먼 훗날 위해 내미는 손. 둘이 서로 마주 잡고 웃네. 한 사람 곁에, 또 한 사람 둘이 좋아해. 긴 세월 지나 마주 앉아. 지난 일들 얘기하며 웃네. 한 사람 곁에, 또 한 사람, 둘이 좋아해. 긴 세월 지나, 마주 앉아. 지난 일들 얘기하.. 2013. 11. 29. 가지마오 가지마오 사랑해 사랑해요. 당신을 당신만을. 이 생명 다 바쳐서 이한목숨 다 바쳐, 내 진정 당신만을 사랑해. 가지 마오, 가지 마오. 나를 두고 가지를 마오. 이대로 영원토록 한 백년 살고 파요, 나를 두고 가지를 마오. 사랑해 사랑해요. 당신을 당신만을. 이 생명 다 바쳐서 이한목숨 다 .. 2013. 11. 29. 월악산 마의태자와 덕주공주 충북 제천시 덕주사의 마애불과 충주 미륵사(세계사)의 미륵불에는 신라 마지막 왕이었던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德主公主)와 아들 마의태자(麻衣太子)의 이야기가 간직되어 있다. 이에 관해 제천의 덕주사에서 전해오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덕주사는 왕건이 신라.. 2013. 11. 25. 남양주 다산 정약용생가와 묘소 정약용 생가와 묘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산 75-1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져 하나를 이루고 있는 마현마을은 다산 정약용이 태어난 곳이자, 전라도 강진에서 18년의 긴 유배생활을 마치고 돌아와 머물던 곳이다. 정약용은 조선 후기의 대학자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던 관료였으나, 당파 싸움과 천주교 박해에 의하여 그의 젊은 시절 대부분은 한양에서 수백 리 떨어진 남도 땅, 강진에서 보내게 된다. 18년 유배 생활 동안 그곳에서 학문을 꽃 피우는데, 다산초당에서 주변과 교류하며 쌓은 학문적 업적은 우리 역사에 기록될 일이다. 시대를 개혁하고 보다 나은 세상을 향한 꿈을 담았던 그는 긴 유배 생활을 마치고 태어나고 자랐던 이곳으로 돌아와 여생을 보내다 생을 마감하였다. 지금 이곳에는 그가 살았던 집인 여유당,.. 2013. 11. 22. 이전 1 ··· 114 115 116 117 118 다음